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1002 터렛 ㅋㅋㅋㅋㅋㅋㅠ 미치겠다 저기 사람 있었구나 저걸 누가 아냐고ㅋㅋㅋㅋㅋㅋㅋ 터렛 안에 사람 있어요 (???????) 아 자꾸 피식하게 됨 문제 파악해보니 두 원이 주어졌을 때 원의 교점을 구하는 문제였다. 허어어... 퇴근하고 운동하고 플젝하고 푸는거라 개피곤하다... 내일 아침에 풀겠음 --- 아침에 풀었음! 처음에 착각해서 무한인 경우가 이런 건 줄 알았다. 그런데 예시가 0이어서 고민하다가 두 개가 똑같은 원인 경우 무한이라는 걸 알았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.. 더보기
1015 수열 정렬 아 뭔가 잘못 이해한 듯? 출근시간 다와가서 내일 오전에 다시 보겠음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sing iis = pair; using ii64 = pair; using iii = tuple; int main() { int n; scanf("%d".. 더보기
12933 오리 https://youtu.be/MtN1YnoL46Q 문제 풀면서 들었던 노래 빰빰빰 빰 빠바 밤~ 상태를 관리하면서 오리 소리의 개수를 세면 된다 정확히 꽥만 세야 하는데 꽥괙꽥 이런 경우 체크해줘야 한다 (마지막 예시)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.. 더보기
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아 이것도 작년에 본건데! 그냥 모든 경우 다 확인했다. 입력이 50밖에 안 돼서 가능하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sing iis = pair; using ii64 = pair; using iii = tuple; int main() { int .. 더보기
2567 색종이 - 2 와ㅋㅋ 이거 2년전에 포기했던 문제인데 저렇게 사각형 두는 문제들 전부 색칠하면 편하게 풀 수 있다. 105 * 105 사이즈 도화지를 두고 직접 색종이를 색칠한다. 둘레를 구하는 방법은 흰 부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검은 칸 있으면 ++ 하는 걸로 해결할 수 있음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.. 더보기
2018 수들의 합 5 어케풀지;; 고민했는데 연속된 합이라 투포인터였다. 투포인터 오랜만이라 기록해둠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sing iis = pair; using ii64 = pair; using iii = tuple; int main() { int n; scan.. 더보기
22358 스키장 으아악.. dp인데 상태 저장해야 하는 문제들 너무 어렵다;; 낯설어;; 친해지기도 힘듬;; 이전에 풀었던 https://burningjeong.tistory.com/388 관악산 문제 + 벽 부수기랑 비슷한 느낌이다. 전체 코드는 아래랑 같은데 일단 다시 정리 겸 조각조각 땃땃따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.. 더보기
22353 헤이카카오 a = 끝말잇기에 걸리는 시간 (분) d = 끝말잇기에 이길 확률 k = 오른 승률 solve = 이길 확률을 넣었을 때 걸리는 시간을 반환하는 함수 1. 끝말잇기에 이길 확률을 넣음 -> 만약 확률이 100이면 (1이면) a분을 반환 2. 이길 확률 * a분 + 질 확률 * (다음에 이길 확률의 시간 값) + a분 이번에 이길 확률에 시간 곱한거라 졌을 때 걸리는 시간 두 개 더하면 시간의 기댓값이 나온다. 졌을 때 걸리는 시간은 일단 졌으니 a분을 더해야 하고 다음번에 이겼을 때의 시간을 더해준다. 아 이런 왜이리 죽을것 같은 기분이 드냐 했더니 점심을 안 먹었다. 밥 먹고 마저 품 풀었다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