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1992 쿼드트리 풀었다. 내가해냄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; using ii = pair; using ii64 = pair; int arr[100][100]; void solve(int n, int x, int y) { if (n == 1) { printf("%d", arr[x][y]); return; } bool isOne = true, isZero = true;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 for (int.. 더보기
1991 트리 순회 아 재밌다. 처음에 어떻게 하지 싶었는데 덕분에 중위 후위 전위 순회 방식 잘 알게됨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; using ii = pair; using ii64 = pair; vector adj[30]; int dot = 'Z' + 1; void preorderTraversal(int curr) { printf("%c", curr + 'A'); if (adj[curr][0] != dot) { preorderTrave.. 더보기
c++ 한 줄 입력 getline(cin, str); 더보기
2156 포도주 시식 디피인것 같은데 좀 더 고민해봐야할듯 https://yabmoons.tistory.com/512 [ 백준 2156 ] 포도주 시식 (C++) 백준의 포도주 시식(2156) 문제이다. [ 문제 바로가기 ] [ 문제풀이 ] 간단한 예시를 통해서, 포도주를 어떻게 마셨을 때, 가장 최대로 마실 수 있는지 알아보자. 5개의 포도주 잔이 있고, 그 5개의 yabmoons.tistory.com 이분 풀이 참고해서 풀었다. 이렇게 생각을 해야 하는구나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.. 더보기
1629 곱셈 입력이 21억이라 시간복잡도가 루트가 되어야 한다고 감 잡았고 곱셈을 제곱씩 하면 되겠다 싶었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sing iis = pair; using ii64 = pair; using iii = tup.. 더보기
1074 Z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xx first #define yy second 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 using namespace std; using i64 = long long int; using ii = pair; using iis = pair; using ii64 = pair; using iii = tuple; int dp[105]; int main() { int n, r, c; scanf("%d %d.. 더보기
중복제거 sort(arr.begin(), arr.end()); arr.erase(unique(arr.begin(), arr.end()), arr.end()); 더보기
실수범위 이분탐색 파라메트릭서치 또 100번 도는 이유가 오차 범위가 10^-6, 10^-9이기 때문에 10^9를 100번 이분탐색 하면 10^9 * 2^-100 이 되어 아주아주 숫자가 작아진다. 궁금해서 곱해봤는데 2를 한 40번 나누니깐 10^-6을 넘어섰다. 100번 = 오차 : 10^9 40번 = 오차 10^6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