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은 걸 나눠서 합칠지 / 큰 걸 나눠서 합칠지 결정해야 했는데 직접 적어보면 작은 걸 나눠서 합치는게 유리하다.
그래서 정렬한 다음 작은거 합침 -> 또 합침 .. -> 합침
도미노처럼 합치는 모양으로 구현했지만 예시가 달랐다. 알고보니 이렇게 말고 가장 큰 거에 나머지 작은 거를 합쳐야 했었다.
풀이는 쉬웠음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functional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queue>
#include <stack>
#include <set>
#include <map>
#include <cmath>
#include <cstring>
#include <bitset>
#define xx first
#define yy second
#define all(x) (x).begin(), (x).end()
using namespace std;
using i64 = long long int;
using ii = pair<int, int>;
using ii64 = pair<i64, i64>;
using iii = tuple<int, int, int>;
int main()
{
int n;
scanf("%d", &n);
vector<double> v(n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scanf("%lf", &v[i]);
sort(all(v));
double ans = 0;
for (int i = 0; i < n - 1; i++)
{
ans += v[i] / 2;
}
printf("%.5lf\n", v[n - 1] + ans);
return 0;
}
'prom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연말대회 후기 (0) | 2021.12.13 |
---|---|
[토요라운드] E. 컴백홈 (1189) (0) | 2020.12.07 |
[토요라운드] C. 중간고사 채점 (15702) (0) | 2020.12.07 |
[토요라운드] B. 2의 제곱수 계산하기 (19946) (0) | 2020.12.07 |
[토요라운드] A. 폰 노이만과 파리 (14924) (0) | 2020.12.07 |